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보건법

감전사고 재해 원인 및 예방대책 안전교육 자료

by 신임스토리 2024. 4. 12.

안녕하세요 오늘은 감전사고, 감전재해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산업안전교육자료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PPT파일을 공유드리고 있으니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감전사고 감전재해 원인 및 예방대책 산업안전교육자료
감전재해 산업안전교육자료

전기의 특성

전기는 형체, 소리, 냄새가 없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고 잇는곳(충전부)을 외관상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전기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이 아주 빠르므로, 사고 발생 시에는 대피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전기는 현대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에너지로 전기가 없으면 하루라도 살기 어려울 정도가 되어 있으니 사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기의 성질은 물이 높은 곳엣허 낮은 곳으로 흐르듯 전하는 전기적인 위치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물이 흐르는 이유가 중력 때문이라면 전류는 '기전력'이라는 힘에 의해 흐릅니다. 전류가 흐르는 길을 전기회로라 하며 이는 물이 흐르는 수로에 대등됩니다. 전류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는 장치를 부하라 하고, 이것은 물에 의해 돌게 되는 물레방아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전류는 발열, 자기, 화학 등 3가지 작용이 있는데 여러 가지 전기 기계구기는 이 3가지 작용을 응용한 것입니다.

 

*발열작용 : 모든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발열작용에 의해 발생한 열은 전등, 다리미, 전기히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자기작용 : 전기가 내는 힘의 작용을 응용한 것으로 전자석 또는 전동기의 기본 원리가 됩니다.

 

*화학작용 : 물의 전기분해나 전기도금, 건전지 등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전기의 위험성

1.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이나 전기 설비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2. 기기의 결함 등으로 누전된 전기설비의 외함, 철 구조물에 접촉되는 경우

3. 고전압 부위에 인체가 근접되어 공기의 절연파괴로 감전 화상을 입는경우

4. 전기불꽃, 아크로 인한 화재, 화상을 입거나 비산물에 인해 시력이 손상되는 경우

5. 사용 중 정전이 된 경우 갑자기 전원이 투입되어 회전부에 말려들어 절상, 창상 등의 위험

감전 재해의 원인

1)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이나 전기설비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2) 기기의 결함 등으로 누전된 전기설비의 외함, 철 구조물에 접촉되는 경우

3) 고전압 부위에 인체가 근접되어 공기의 절연파괴로 감전 또는 화상을 입는 경우

4) 낙뢰로 인하여 전기에너지가 인체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https://shinimstory.tistory.com/entry/%EC%9C%84%ED%97%98%EC%84%B1%ED%8F%89%EA%B0%80-%EC%96%91%EC%8B%9D-%ED%8C%8C%EC%9D%BC-%EC%9E%90%EB%A3%8C-%EB%8B%A4%EC%9A%B4%EB%A1%9C%EB%93%9C

전기 사용 시 안전대책

가. 충전부 노출 금지

전기기기나 배선의 충전부가 절연되어 있지 않으면, 충전부의 접촉에 의한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절연은 확실하게 하여야 합니다. 전기기기나 배선 자체는 물론이고 전선과 기기의 접속 부분, 전선과 전선의 연결 부분 등도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용 테이프 등으로 충분히 절연시켜 주어야 합니다. 만약 절연조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충전부를 절연성 물질 등으로 덮어주어(충전부 방호) 감전 사고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또한 전기를 사용하는 곳의 바닥을 절연처리 하거나 습기를 없애 건조하게 유지시켜 작업자의 충전부 접촉 시 재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나. 절연상태 관리 철저

전선이나 전기기기 등은 절연피복이 벗겨지거나 구리(도체)가 노출되는 등 절연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고 만약 손상되었을 경우 즉시 보수를 하도록 하며 또한 전기기기 등은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그 상태를 관리해야 합니다. 

다. 물기 있는 곳에서의 취급 금지

몸에 땀이 나 있거나 손이나 발이 물에 젖었을 때는 감전 재해가 일어나기 아주 쉽습니다. 따라서 전기기기를 조작할 때에는 반드시 마른 상태에서 조작해야 하고, 바닥에 물기가 있는 곳에서의 스위치 조작이나 전기기기 사용은 금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기기기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절연장화 등의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라. 접지

접지선을 연결한 접지극을 땅속에 매설하여 누전 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누설전류의 대부분을 땅으로 흐르게 하여 기기 외함에 걸리는 전압을 감소시켜 감전재해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 누전차단기 설치

전기는 냄새, 색이 없기 때문에 옥내배선과 전기기구의 고장 등으로 누전이 된다 해도 발견이 어렵고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누전차단기를 부착하면 누전이 될 경우 자동적으로 전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전원 측의 과전류 보호장치가 감지하지 못하는 아주 작은 전류에서 인체를 감전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감전사고 안전교육자료 PPT 다운로드

감전사고 원인과 예방대책 안전교육 자료 PPT.ppt
2.31MB

 


위험성평가 교육자료 PPT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위험성평가 교육자료PPT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위험성평가 목적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라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관리·개선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shinimstory.tistory.com

떨어짐 추락 재해예방 안전교육 자료

 

떨어짐 추락 재해예방 안전교육 자료

떨어짐 추락 재해 안전교육 자료 떨어짐 재해란? 지난해 2023년 사망 사고의 42%는 지붕이나 사다리 등에서 작업 중 발생한 추락 사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재해조사

shinimstory.tistory.com

소방교육 자료 ppt 소방안전교육 일지 훈련

 

소방교육 자료 ppt 소방안전교육 일지 훈련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방안전교육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소방교육에는 어떤 사항들이 들어가야 하며 실제 업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소방안전교육 자료 ppt 파

shinimstory.tistory.com

TBM이란 뜻 활동 일지 양식 회의록

 

TBM이란 뜻 활동 일지 양식 회의록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TBM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TBM 정확한 정의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바로 사용가능한 활동 일지 및

shinimstory.tistory.com

소음작업 안전대책 산업안전보건교육 자체교육 자료 ppt 근로자정기안전보건교육 자료 다운로드

 

소음작업 안전대책 산업안전보건교육 자체교육 자료 ppt 근로자정기안전보건교육 자료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교육 자체교육 자료 ppt 파일을 공유하겠습니다. 교육 주제는 소음 작업에 대한 안전대책 관련 내용으로 사업장 내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시 안전교육 자료

shinimstory.tistory.com

 

그럼 지금까지 감전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감전사고 사전에 잘 예방하시고 지속적인 안전교육을 통한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고취 바랍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더 안전하고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