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참여
사업장에 잠재된 위험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1. 안전보건관리 전반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다.
- 안전보건 경영방침과 목표,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주요 내용, 안전보건관리규정,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의결사항 등을 게시한다.
- 안전보건 주제와 관련하여 근로자가 참여할 수 있는 공식적인 절차를 공지한다.
- 사업장 내 유해 위험 기계 기구 및 물질, 아차사고 발생 현황 등 그 밖에 안전보건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공지한다.
정보공개 항목 |
안전보건 경영방침 및 목표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주요 내용 안전보건관리규정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의결 사항 안전보건관리체계 관련 근로자 참여 절차 위험요인별 제거 관리 방안 유해 위험 물질 및 기계 기구 정보 산업재해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 대책 |
2. 근로자 참여를 위한 절차를 마련한다.
- 근로자 의견수렴 절차를 도입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근로자 외 수입인 근로자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식적인 절차를 마련한다.
- 부서별 작업 전 미팅 활동(TBM)을 도입한다.
*작업전 안전미팅 활동(TBM) : 작업시작 전, 현장에서 소단위 그룹을 중심으로 단시간 실시하는 회의를 말한다.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작업방법 등 회의 목적을 명확하게 한다.
-전원이 발언하도록 유도, 가급적 전원이 합의한 방법으로 결정한다.
-결정사항은 기록하고 이행한다.
-이행결과 안전보건이 확보되고 효율적인 경우 공식적인 작업절차에 반영한다.
- 근로자가 안전보건 부서의 안전보건 관련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자유롭게 신고 제안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한다.
- 신고 제안자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3. 근로자가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한다.
근로자가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위험요인 신고, 제도개선 제안 등을 독려하고 인센티브를 마련하며, 신고 제안자에게 징계, 업무증가 등 불이익이나 부담이 없도록 한다.
신고 및 제안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조치결과를 공개한다.
위험 제거 관리방안 마련 시, 해당 작업과 연계된 근로자를 참여시킨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의 모든 과정에 근로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근로자가 꼭 참여해야 하는 것 |
안전보건 프로그램 설계 및 목표 설정 부서별 공정별 위험요인 파악 및 제거 관리방안 마련 안전작업 지침 작성 및 문서화 안전절차 수립 및 개정 사내 산업재해 발생 원인 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 근로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작업환경측정, 특수건강진단 겨로가 모니터링 현장 안전점검 실시 |
위험요인 파악
산업재해 예방은 위험요인 파악에서 시작한다. 위험요인과 위험의 정도를 제대로 알고만 있어도 근로자는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을 할 수 있다.
1.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한다.
- 관리자와 근로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위험요인을 발굴한다.
- 모든 근로자들이 자유롭게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신고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한다.
- 발굴한 위험요인은 유형별로 분류하여 기록하고 관리한다.
위험요인 파악 시 확인서류 |
사고조사보고서 등 과거의 재해보고서 기계 장비 등 보유 현황 및 설명서 공정별 작업절차도 화학물질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MSDS 안전모, 방진마스크 등 보호구 보유 현황 의부 전문기관의 지도 점검 결과 작업환경측정 결과 근로자 교육자료 |
2. 위험기계 등을 파악한다.
- 사업장 내 모든 기계 기구 설비를 파악하고 위험 유무를 파악한다.
- 새로운 기계 등을 구매할 때는 안전하게 설계된 제품을 선택한다.
- 산재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기계는 반드시 위험요인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3. 유해인자를 파악한다.
유해인자 : 근로자에게 건가장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통상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 인간공학적 인자로 분류한다. 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8]에서는 유해인자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기준을 정하고 있다.
- 화학제품 제조 수입자가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있는 화학물질의 명칭, 유해 위험성 정보, CAS번호를 확인한다.
- 소음, 진동, 방사선, 기압, 기온, 등이 정적 수준인지 확인한다.
- 생물학적 인자(혈액매개, 공기매개, 곤충동물매개 감염인자)와 인간공학적 인자(근골격계부담작업)를 확인한다.
4. 위험장소와 작업별 위험요인을 파악한다.
- 중대재해의 주요 유형인 떨어짐, 끼임, 맞음, 부딪힘, 깔림, 뒤집힘, 질식, 화재 폭발 감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기계 기구 및 유해인자와 연계하여 파악한다.
- 작업별 위험요인은 크게 정형작업과 비정형작업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공정별로 정리한다.
- 위험장소와 작업방식을 조사할 때는 모든 근로자가 참여한다.
5. 산업재해 및 아차사고를 조사한다.
과거에 발생한 산업재해 현황을 분석하여 위험요인을 조사한다.
산재 뿐만 아니라 아차사고도 파악하여 위험요인을 조사한다.
사고조사 시에는 안전보건 담당자 및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되, 반드시 근로자가 참여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위험요인 제거 대체 및 비상조치계획 수립, 도급 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0) | 2023.08.01 |
---|---|
산업안전일반 리스크관리, 학습지도원리, 안전보건진단, 위험성평가 사전준비 핵심 (0) | 2023.08.01 |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의무화 및 자가진단 (0) | 2023.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