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150 도급시 산업재해 예방 도급계약 도급인 수급인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도급사업의 안전보건관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하여 도급사업의 정확한 정의와 도급사업에 의무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실 수 있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도급 사업이란? 도급이란 명칭에 관계없이 물건의 제조, 건설, 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맡기는 계약을 말한다. 도급인 물건의 제조 건설 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도급하는 사업주(건설공사 발주자는 제외) 수급인 도급인으로부터 물건의 제조 건설 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그 밖의 업무를 도급받은 사업주 관계수급인 도급이 여러 단계에 걸쳐 체결된 경우 각 단계별로 도급받은 사업주 전부 건설공사발주자 건설공사를 도급하는 자.. 2023. 11. 22. 산업재해 조사표 제출 기한 제출처 양식 작성방법 보존기간 미제출 과태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재해조사표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는지, 제출 기한, 제출처, 양식, 작성방법, 미제출 과태료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차근차근 잘 확인해 보시고 꼭 산업재해 미제출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없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산업재해조사표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 [산업재해 발생 은폐 금지 미 보고 등] 1.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발생 사실을 은폐해서는 아니 된다. 2. 사업주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을 기록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에 대해서는 그 발생 개요 원인 및 보고 시기, 재발방지 계획 등을 고용.. 2023. 11. 20. 3톤미만 지게차 지게차 운전기능사 자격증 면허 취득방법 안전교육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게차 자격증 중 3톤미만에 해당하는 자격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자격과 3톤미만 지게차 자격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과태료(지게차 무자격 운전)3톤미만 지게차를 산업현장에서 운전하기 위해서는 전동식과 엔진식을 포함한 지게차는 무자격 운전이 불가합니다. 무면허로 지게차를 운전하는 경우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3톤미만 지게차 자격증이란?시험이 없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 교육수료만 받고 면허증이 발급되며 발급과 동시에 지게차를 3톤 미만에 해당하는 지게차를 현장에서 운전할 수 있습니다. 교육자격누구나 .. 2023. 11. 16. 산업재해 중대재해 중대시민재해 중대산업재해사고 비교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에서 저 또한 들을때 마다 헷갈리는 산업ㅈ해와 중대재해 그리고 중대산업사고에 대해서 분명하게 정리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같은 듯 전혀 다른 느낌의 이 3가지를 꼭 구분하셔서 확실이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산업재해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로 관련 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에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당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합니다. 2-1. 중대재해 중대재해는 산업재해 중에서 사망 등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는 아래와 같습니다. *중대재해 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 2023. 11. 1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