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150 관리감독자의 직무 주요 업무내용 유해위험방지업무 역할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리감독자의 직무, 주요 업무 중 유해위험방지업무에 등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작업에는 총 20가지의 종류가 있으나 사업장 내 실제 해당되는 내용에 대해서만 업무를 수행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등]① 사업주는 법 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별표 2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유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2019.12.26 개정)산업안전보건법 16조 관리감독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된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이하 '관리감독자'라한다)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2023. 11. 28. 작업시작전 점검표 점검사항 안전점검표 파일 첨부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하는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고 해당 점검표 파일을 공유토록 하겠습니다. 작업에 종류에 따른 점검 및 안전점검표를 작성하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 위험 방지 업무 등] ① 사업주는 법 제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별표 2에서 정하느 ㄴ바에 따라 유해 위험을 방지학 ㅣ위한 업무를 수행 하도록 하여야 한다(2019.12.26 개정) ② 사업주는 [별표 3]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 사업주는 제2항에 따른 점검 결과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수리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 2023. 11. 26. 위험물질의 종류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질 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질의 종류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 에는 어떤 물질이 있는지 분명하게 확인하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정확하게 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6조 [위험물 등의 보관] 사업주는 별표 1에 규정된 위험물질을 작업장 외의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야 하며, 작업장 내부에는 작업에 필요한 양만 두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조[비상구의 설치] 사업주는 별표 1에 규정된 위험물질을 제조 취급하는 작업장과 그 작업장이 있는 건축물에 제11조에 따른 출입구 외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 1개 이상을 다음 각 호의 기준.. 2023. 11. 25. 국소배기장치 구성요소 종류 및 안전검사 제어풍속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애매하게 여겨질 수 있는 사업장 내 국소배기장치 환기장치 설치 기준에 대해서 정리해 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끝까지 읽어보시면 국소배기장치 구성요소와 설치 및 안전검사에 기준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국소배기장치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국소배기장치란 분진, 미스트, 흄, 가스 등 오염물질을 송기와 배기로 희석, 포집, 제거하기 위해 발생원 가까이에 설치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국소배기장치 구성요소 1. 후드 2. 덕트 3. 배풍기 4. 배기구 5. 배기물질 처리 시설 *후드 인체에 해로운 분진, 흄(열이나 화학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미세입자), 미스트(공기중에 떠다니는 작은 액체방울),.. 2023. 11. 2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