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3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협의체 구성 운영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협의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뿐만 아니라 도급시 운영해야 할 협의체 운영규정 관련 자료 다운로드 가능한 파일도 함께 공유합니다. 업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1.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이 같은 수로 구성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중대재해에 관한 사항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를 도입한 경우 안전 및 보건 관련 조치에 관한 사항 그 밖에 해당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 2023. 7. 4.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안전보건조정자/담당자의 임무 역할 안전관리자(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 안전관리자의 업무(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8조)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의결한 업무와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2.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3. 안전인증대상기계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등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4.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5.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및 조치 건의 6.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분석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조언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조언 8.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 2023. 7. 4. 산업안전보건법 주요 용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총괄책임자 설명 반갑습니다.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주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과, 산업안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그리고 안전보건총괄책임자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할게요! [산업안전보건법 용어 정의] 산업재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 중대재해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의 재해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근로자대.. 2023. 7. 3. 이전 1 ··· 56 57 58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