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압축기란?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아 공기를 압축하는 기계를 말하며, 왕복동식(피스톤식) 압축기, 스크류식 압축기, 베인식 압축기 등이 있습니다. 공기압축기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높은 공압으로 저장하였다가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각 공압 공구에 공급해 주는 기계입니다. 통상의 가공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압축기는 압축기 본체와 압축 공기를 저장해 두는 탱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기압축기의 사양은 매분 당 공기 토출량과 탱크 용량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압축한 공기는 칩의 청소 등에 사용되는 에어건 등에 쓰이며 공기를 압축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압축 공기 중에 물이 고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는 공기압축기에 드라이어(건조기)를 접속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기압축기 주요 위험요인
1) 공기압축기의 회전부(V-BELT, FULLY)의 노출로 작업자 접근 시 말림 위험과 벨트의 장력이 느슨한 상태로 작동 중 벨트 이탈에 의하여 파편이 작업자를 강타하는 사고 발생의 위험
2) 공기저장탱크 내부 압력상승에 의한 파열사고 발생의 위험
3) 전기배선 및 전원부의 충전부 노출, 미접지로 인한 신체접촉 및 누전 시 감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음
안전대책
*공기압축기의 회전부 방호덮개, 주요 안전장치 등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과 작동유무 확인
주요구조부 | 점검사항 | 사진 |
동력전달부 | -회전부(구동벨트, 플라이휠)의 안전덮개 설치상태, 회전방향표지판 부착상태 -벨트의 이탈, 소손 및 벨트장력 등의 상태 |
![]() |
압력계 | -압력계 외관(지시계, 유리 등)의 손상유무 -압력계의 정상 작동상태 |
![]() |
안전밸브 | -안전밸브의 성능검정품 사용여부 -안전밸브의 외관 및 조작용 레버의 이탈 유무 및 정상 작동상태 -안전밸브의 압력조정 너트는 임의 조작을 금지토록 봉인실시(최대 사용압력의 110% 이하로 설정) |
![]() |
드레인 밸브 | -드레인밸브 손잡이 등의 이탈 및 누유 유무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드레인 실시 상태 -자동 드레인 장치를 부착하거나, 1일 1회 이상 드레인 실시 |
![]() |
공기압축기의 철대 외함 접지 실시 및 절연저항 측정을 통Ω한 정기적인 점검 | |
접지저항 측정 시 | 400V 이하인 경우는 100Ω 이하, 400V 이상인 경우는 10Ω 이하 일 것 |
배선(전선)의 절연 저항 측정 시 | 대지전압 150V 이하인 경우 0.1MΩ 이상, 대지전압 150V초과 300V 이하인 경우 0.2MΩ 이상, 사용전압 300V 초과 400V 미만인 경우 0.3MΩ 이상, 사용전압 400V 이상인 경우 0.4MΩ 이상 일 것 |
공기압축기 재해사례
공기압축기의 고장으로 벨트를 손으로 조작 중 공기압축기가 갑자기 작동하며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 발생
발생원인
-공기압축기의 고장 시 수리,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전원 차단 미실시
-전기기계기구로 전기누전에 대한 감전보호조치 미비
-공기압축기 주변의 오일 등의 장애물을 사업장 현장에 방치
예방대책
-공기압축기의 고장 시 수리,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작동이 되지 않음을 확인 후 작업하여야 하고, 작업 중 다른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한 재해예방을 위하여 전원 스위치에 잠금장치 또는 조작금지 태그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전기기계 기구의 금속제 외함, 금속제 외피 및 철대에는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하게 접지를 실시 하여야 하고, 주기적인 절연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주변의 오일 등에 의한 전도재해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청소가 필요합니다.
공기압축기 안전수칙
*공기압축기는 충분한 안전교육과 작동 법을 익힌 사람만 조작한다. * 압축기가 운전 중일 때에는 벨트커버나 회전부에 가까이 가지 않는다. * 압축기를 작동하기 전에 압축기 주변에 다칠 위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지 확인 후 가동한다. * 작업 시작 전 점검 시 압력게이지, 온도계 등을 점검하여 공기압축기가 정상작동임을 확인한다. * 공기압축기는 정상적인 대기 공기만을 흡입하여 압축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다른 종류의 가스, 기체, 증기류는 절대로 공기압축기에 흡수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 공기압축기의 정비작업 개시 전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모든 전원을 차단한다. * 압축기의 청소 정비 시에는 반드시 압축기를 정지하고 모든 전원을 차단한 다음 내부압력이 완전히 방출된 후 충분히 냉각된 상태에서 실시한다. * 적합한 규격의 안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 안전밸브는 설정압력을 변경하거나 그 기능을 제한하거나 플러그 등으로 대체하지 않는다. * 공기압축기의 시스템 어느 부분에도 플라스틱 파이프, 고무호스의 사용 및 납땜을 하지 말아야 한다. * 에어필터나 부품의 세척 시 인화성 또는 독성이 있는 솔벤트, 신나 등의 사용을 금지한다. * 공기압축기가 작동중일 때에는 정비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 규정된 압력이상으로 공기압축기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 공기압축기 작동 중에는 보호커버나 판넬 등을 제거하지 않는다. * 모든 보수/정비수칙을 준수하고 모든 안전장치를 정기점검계획에 따라 점검한다. * 압축된 공기는 위험하므로 함부로 다루지 않는다. * 항상 공기압축기에 적합한 윤활유를 사용하고 교환주기를 철저히 지킨다. |
공기압축기 작업 시작 전 점검 일지
1.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 상태
2.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3.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4. 언로드밸브의 기능
5. 윤활유의 상태
6. 회전부 덮개 또는 울
7. 그 밖의 연결 부위의 이상 유무
소음작업 안전대책 산업안전보건교육 자체교육 자료 ppt 근로자정기안전보건교육 자료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교육 자체교육 자료 ppt 파일을 공유하겠습니다. 교육 주제는 소음 작업에 대한 안전대책 관련 내용으로 사업장 내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시 안전교육 자료
shinimstory.tistory.com
TBM이란 뜻 활동 일지 양식 회의록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TBM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TBM 정확한 정의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바로 사용가능한 활동 일지 및
shinimstory.tistory.com
끼임 사고 예방 및 안전교육 자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에서 제조업 끼임 사고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차근차근 읽어보시고 사업잔 안전관리 및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랍니다
shinimstory.tistory.com
위험성평가 양식 파일 자료 다운로드
오늘은 사업장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위험성평가 양식을 공유하겠습니다.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위험성평가이지만 사실 어렵게 생각하면 정말 엄두도 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
shinimstory.tistory.com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성평가 교육자료PPT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자료 (1) | 2024.03.22 |
---|---|
고소작업대 안전수칙 안전검사 (0) | 2024.03.17 |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 50인이하 미만 주요 내용 (1) | 2024.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