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용어 흡음재 흡입독성 흡입성분진 히트트레이싱 희석환기 흑구온도 희빙

by 신임스토리 2023. 8. 26.

흡음재

흡음율이 높은 재료를 말하며, 소음방지용으로 쓰이고 있다. 그 종류는 많지만, 다공질 재료, 판(또는 막)상 재료의 공명형 구조재로 대별된다. 다공질 재료에는 유리섬유, 암면, 광섬유, 석면 등을 상으로 중합시킨 mat(멍석)상으로 한 것, 이들이 재료에 시멘트, 플라스터(석회, 모래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천정, 벽을 바르는 도료), 도료 등을 접착제로 하여 혼합시킨 것을 붙여서 흡음면으로 한 것 등이 있고, 판상 재료는 합판, 하드보드 슬레이트 금속판, 비닐시트, canvas(범포.주포) 등을 강벽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흡음면으로 한 것이며, 공명형 구조재는 판상재료에 구멍이나 작은 간격을 열어 둔 것으로서 구멍 1개가 공명기가 되어 흡음을 한다. 이상의 흡음재를 적당하게 조합시킨 것을 사용하면 흡음효과는 한층 높아지게 된다.

 

흡입독성

유해물질의 인체노출경로는 크게 세가지 호흡기, 피부 및 소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독성물질의 유해성은 노출경로와 유해물질의 물리적 성상(입자크기, 용해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작업장 내 공기 중 유해물질의 노출경로는 호흡기를 통한 흡수가 가장 많으며 유해성도 높다. 독성실험에서도 소화기관을 통하여 흡수되는 경구독성, 피부 접촉 시 나타나는 경피독성, 그리고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되는 흡입독성이 있다. 실험동물을 이요한 급성동석 연구에서는 경구독성과 경피독성은 LD50(시험유기체의 50%를 죽게 하는 동성 물질의 양)으로 표현하며 흡입독성은 일반적으로 LC50(시험유기체의 50%를 죽게 하는 독성물질의 농도, ppm)으로 표현한다. 산업보건분야에서는 흡입독성자료가 경구 및 경피독성 자료보다 활용도가 높다.

 

흡입성분진(inhalanle particulate mass)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에서는 호흡성분진을 호흡기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독성을 유발하는 분진으로 정의하였으며 입경 범위는 0~10㎛이다.

 

히트 트레이싱(heat tracing)

화할물질을 이송하는 배관을 보온하는 방법으로서 보온재 대신 스팀튜브 또는 전기열선을 배관에 감아 스팀/전기의열을 이용하여 배관 내 유체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희석환기

전체 환기라고도 한다. 작업자의 건강유해성이나 작업환경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작업장이나 건조물 및 대기실의 오염공기를 청정공기로 희석하면서 환기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희석환기는 국소배기만큼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환경의 오염을 제거하지 못한다. 그러나 작업의 형태나 공정이 국소배기의 의한 환기를 할 수 없을 때 에는 희석환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희석환기법의 실제적 적용에 있어서는 다음의 4가지 제한 요인을 참작하여야 한다. 1.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적어야 한다. 만일 발생량이 많으면 희석공기량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경제적으로 실효성이 없다. 2. 작업자들이 유해물질의 발생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하고 작업자들이 허용농도 설정치 이상으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작업환경 내의 유해물질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 3. 유해물질의 독성이 적어야 한다. 4. 유해물질의 발산이 비교적 균일하여야 한다. *희석환기 법은 흄이나 분진에 대해서는 작당하지 않다 이유는 대부분의 흄이나 분진의 독성은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희석공기의 양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된다. 흄이나 분진의 발산속도와 발산율이 통상적으로 너무 높다는 것이다. 흄이나 분진의 발생량에 대한 데이터를 제대로 확보하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으로 희석환기법의 적용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 경유는 저독성의 유기용제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의 억제관리라고 할 수 있다.

 

흑구온도(glove temperanture)

복사온도를 의미한다. 복사열은 물체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 물체가 흡수하여 열로 변했을 때의 에너지를 의미하며 복사온도는 이를 측정한 온도이다. 복사온도는 두께 0.5mm 동판을 사용한 직격 6인치(약15cm) 또는 3인치(7.5cm)의 속이 빈 공모양의 표면을 검게 칠하고 광택을 없앤 흑구 표면에 조사되는 열복사량을 측정한 것이다.

 

히빙(Heaving)

흙파기 바닥면에서 윗부분에 있는 흙의 무게 및 지표면 하중에 있는 경우에는 그 무게가 작용하게 되는데, 이 무게에 대하여 흙파기 바닥면에서 하부 흙 지지력이 적을 경우 바닥면에서 아래쪽의 흙이 붕괴되어 흙막이의 바깥쪽 흙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히빙에 의한 파괴라고 한다. 히빙현상은 흙막이벽의 전단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것은 흙막이벽 배면의 흙의 중량이 굴착바닥면 이하의 지반지지력을 초과하면 지반의 파괴가 일어나 흙막이벽 주변의 흙덩어리가 굴착부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이다. 연약한 지반에서 흙막이지보공의 계획과 설계를 할 때에는 히빙에 대한 검토를 하여 널말뚝의 강성과 굴착깊이를 결정해야 한다. 히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서 하부의 지반을 개량하거나 강성을 높고 강도가 강한 흙막이 벽의 끝을 하부의 단단한 양질 지반 중에 깊이 위치시키는 조치가 필요하다. 그밖에 강성이 높고 강도가 강한 흙막이 벽의 끝을 하부의 단단한 양질 지반 중에 깊이 위치시키는 조치가 필요하다. 그 밖에 굴착면을 분할하는 부분굴착공법 또는 트렌치식 굴착(trnch cut) 공법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댓글